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고속도로 하이패스 통행 방법 변경 -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이란?

by 착한사막여우 2024. 5. 16.
728x90
반응형

고속도로 하이패스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이란?

도로를 이용하다 보면 통행료를 내야 합니다.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는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통행권을 발급받아서 요금을 내는 TCS차로, 하이패스 전용차로, 다차로 하이패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행 방식은 고속도로에서 교통 흐름상 정체를 발생시키거나 주행속도를 갑자기 줄여야 하는 구간의 발생으로 사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차량이 무정차로 주행할 수 있는 스마트톨링방식이 시범도입됩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에서는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을 2024년 5월 28일부터 시범적으로 일부구간에서 시행한다고 합니다. 기존에는 하이패스 단말기가 부착된 차량만 통과할 수 있었는데 이번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으로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어도 하이패스를 무정차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이번 스마트 톨링 시범사업으로 상습지정체 개선, 병목현상감소, 교통사고 감소, 탄소배출량 감소 등의 문제점도 개선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고속도로-하이패스-통행-방법-변경-스마트-톨링-시버사업
출처 한국도로공사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기간 및 대상구간

차량번호판 영상인식 기술을 통해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어도 하이패스를 통과 가능하며 차로를 무정차로 이용하고 15일 이내 통행료를 자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사업기간 : 2024년 5월 28일 14:00 ~ 2025년 5월 27일, 1년간

대상구간 : 경부선(대왕판교 요금소), 남해선 8개 요금소(서영암, 강진무위사, 장흥, 보성, 벌교, 고흥, 남순천, 순천만)

대상차량 : 단말기 미부착 차량(단말기 전원 off포함)

이용차로 : 하이패스 전용차로(혼용차로 제외)

 

요금 납부 방법 

●사전등록 납부 : 홈페이지 또는 고속도로 통행료 앱에서 차량번호와 결제가능한 신용카드를 사전등록해 주고 통행료가 매월 결제일에 자동납부되는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가입자, 차량명의, 카드명의 같은 경우만 등록가능하며 신청 다음날부터 이용가능합니다.(로그인 → 서비스 신청서 작성 → 카드 정보입력)

●자진납부 : 운행일 이후 15일 이내 자진납부(홈페이지, 고속도로 통행료 앱, 콜센터 등), 15일 이후 통행료 납부고지(우편, 문자)합니다. 요금납부는 전국 요금소 사무실, 휴게소 및 셀프주유기, 고속도로 홈페이지, 앱, 콜센터, 전국편의점 CU, GS25에서 가능합니다.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주요 Q&A(출처 고속도로 통행료)

 

 

 

 

 

 

728x90
반응형